'아이 캔 스피크' 영화 리뷰, "아픈 건 난데 네가 왜 울어…" 아픔을 나눈다는 건...

지나고 나서 줄거리를 다 말하고 싶은 영화가 있다. 그래서 늦게 리뷰에 올리는 영화가 바로 '아이 캔 스피크(i Can Speak, 2017)'다. 누군가의 아픔을 같이 한다는 거, 그런데, 아픔을 느끼는 사람보다 지켜보는 사람이 더 마음 아파할 수도 있다는 것, 그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나는 그렇게 누군가의 아픔을 나눈 적이 있었는가 돌아보게 되는 영화. 바로 '아이 캔 스피크'다. 온 동네를 휘젓고 다니며, 무려 8천 건에 달하는 민원을 넣어 ‘도깨비 할매’로 불리는 옥분(나문희 분) 할머니. 그녀는 새로 발령받아 구청으로 온 원칙주의 9급 공무원 민재(이제훈 분)에게 자신의 수많은 민원을 접수한다. 원칙대로 민원 접수를 해야 한다며 서류를 요청하는 민재에게 그 규칙을 지키면서 다량의 서류를 작성해서 들고 온 옥분 할머니. 이렇게 서로 옥신각신 하던 옥분 할머니와 민재. "외로워서 그래..." 할머니가 민원을 제기하는 이유가 외로움 때문인줄 생각할 때쯤 영어 공부를 하는 할머니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러던 어느 날 유창하게 영어를 구사하는 민재를 보고 영어 선생님이 되어 달라고 부탁하며 민원을 잠시 멈추겠다고 옥분 할머니. 민재는 할버니의 제안을 받아드리고, 우여곡절 끝에 어울리지 않을 것 같았던 두 사람은 영어 수업을 시작한다. 수업을 하게 되면서 친구이자 가족으로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관계가 되어가던 중 옥분이 영어 공부를 하려는 이유를 알게 된 민재는 옥분을 더 적극적으로 돕게 된다. 위안부였던 옥분 할머니는 자신이 겪은 고통을 알리기 위해 영어를 배우고자 했던 것이다. 미국에 입양된 동생과의 대화를 위해서라기 보다 위안부의 사실을 알리는 것이 영어를 배우는 최종 목표였다. 결국 영어를 배워 위안부에 대한 실체를 말하게 되는 옥분할머니.. 이 영화가 담은 깊은 의미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부분도 우리가 기억해야 하지만, 난 마지막에 같이 지내던 ...